반응형
Notic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쉘 프로그래밍
- Docker
- Diagrams
- markdown mermaid
- SSH
- k8s chatops
- github-actions
- kubenetes botkube
- nextjs 정적배포
- Mermaid
- terraform
- linux 셸 프로그래밍
- markdown
- botkube
- TLS
- nextjs html확장자
- k8s botkube
- k8s
- 리눅스
- ubuntu
- github
- kubernetes
- k8s slack
- helm
- github actions
- Harbor
- linux 셸 스크립트
- cloudfront s3
- aws
- kubenetes slack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IOC (1)
민한의 블로그
Terraform import를 간편하게 사용하자.(feat. terraformer)
terraformer는 기존의 인프라를 terraform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terraform import를 사용 하고자 하였으나, state만 가져오기에, 직접 tf파일을 작성하기에는 이건 좀 큰일이구나 싶을 때 찾아서 사용하였다. terraforming 이라는 AWS 전용 terraform import 도구가 있었는데 Project Status (2021-12-11): No longer actively maintained이라고 한다. 아무래도 멀티 클라우드 시대이니, 범용적으로 사용하기에도 좋고, 사용법도 편리한 terraformer를 선택하게 되었다. https://github.com/GoogleCloudPlatform/terraformer 이 주소로 들어가서 각자의 환경에 맞게 설치를 진행하면 되..
인프라/Terraform
2022. 9. 28. 2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