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kubenetes slack
- TLS
- botkube
- github-actions
- SSH
- Mermaid
- nextjs html확장자
- kubenetes botkube
- markdown mermaid
- 쉘 프로그래밍
- 리눅스
- kubernetes
- Docker
- aws
- markdown
- linux 셸 프로그래밍
- cloudfront s3
- github actions
- terraform
- nextjs 정적배포
- k8s botkube
- k8s chatops
- k8s slack
- ubuntu
- Diagrams
- k8s
- github
- linux 셸 스크립트
- Harbor
- helm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인프라 (31)
민한의 블로그

궁금했던 질문들과 공부했던것을 정리하는 중입니다. 예전에는 서버를 애완동물로써 관리를 해왔는데, 이제는 가축으로 관리를한다. 애완동물은 회사 내의 서버, Monolithic구조, 가축은 Cloud 서버, MicroService Architecture 라고 생각해야한다. 하나하나가 소중하게 보살펴줘야하는 서버였지만, 이제는 기업형 목축을 하듯 막 다루는 느낌이 있다.(적당히) 나도 기업형 목축을 위해서 쿠버네티스를 공부하게 되었다. 쿠버네티스란? CNT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의 오픈소스중 하나이며, 첫번째 졸업 프로젝트이다. https://www.cncf.io/projects/ [Graduated and incubating projects | Cloud Native..
인프라/k8s
2021. 7. 21. 19:55